전문 음향 엔지니어링에서 흔히 발생하는 8가지 문제

1. 신호 분배 문제

전문적인 오디오 엔지니어링 프로젝트에서 여러 세트의 스피커를 설치하는 경우 신호는 일반적으로 이퀄라이저를 통해 여러 대의 앰프와 스피커로 분배되지만 동시에 여러 브랜드와 모델의 앰프와 스피커를 혼용하게 되어 신호 분배에 여러 문제가 발생합니다. 임피던스가 적합한지, 레벨 분포가 균일한지, 각 스피커 그룹에서 얻은 전력이 적합한지 등입니다. 이퀄라이저로 스피커의 음장과 주파수 특성을 조정하는 것은 어렵습니다.

2. 그래픽 이퀄라이저 디버깅 문제

일반적인 그래픽 이퀄라이저는 제비형, 산형, 그리고 파형의 세 가지 스펙트럼 파형을 가지고 있습니다. 위의 스펙트럼 파형은 전문 음향 엔지니어들이 생각하는 파형이지만, 실제로 음향 엔지니어링 현장에서는 요구하지 않습니다. 아시다시피, 이상적인 스펙트럼 파형 곡선은 비교적 안정적이고 가파릅니다. 조이(Joy) 후 스펙트럼 파형 곡선을 인위적으로 조정한다고 가정하면, 최종적인 효과가 종종 역효과를 낼 수 있습니다.

3. 압축기 조정 문제

전문 오디오 엔지니어링 분야에서 컴프레서 조정의 일반적인 문제는 컴프레서가 전혀 효과가 없거나, 효과가 너무 강해서 반대 효과를 얻을 수 없다는 것입니다. 전자는 문제 발생 후에도 계속 사용할 수 있지만, 후자는 문제를 야기하고 음향 엔지니어링 시스템에 영향을 미칩니다. 일반적으로 반주음이 강할수록 보컬이 약해져 연주자의 음색이 불안정해지는 것이 일반적인 현상입니다.

전문 음향 엔지니어링에서 흔히 발생하는 8가지 문제

4. 시스템 레벨 조정 문제

첫 번째는 파워 앰프의 감도 조절 노브가 제자리에 있지 않고, 두 번째는 오디오 시스템이 제로 레벨 조정을 수행하지 않는 것입니다. 일부 믹서 채널의 사운드 출력이 약간만 올라가 크게 증가합니다. 이러한 상황은 오디오 시스템의 정상적인 작동과 충실도에 영향을 미칩니다.

5. 베이스 신호 처리

첫 번째 유형의 문제는 전자 주파수 분할(EFD) 없이 전력 증폭기를 통해 전 주파수 신호가 스피커 구동에 직접 사용된다는 것입니다. 두 번째 유형의 문제는 시스템이 저음 신호를 어디에서 얻어야 할지 모른다는 것입니다. 전 주파수 신호가 전자 주파수 분할에 사용되지 않고 스피커 구동에 직접 사용된다고 가정하면, 스피커는 스피커 유닛을 손상시키지 않고 소리를 낼 수 있지만, LF 유닛만 전 주파수 소리를 낼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시스템에 내장되어 있지 않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적절한 위치에서 저음 신호를 얻는 것은 현장 음향 엔지니어의 작업에 추가적인 어려움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6. 효과 루프 처리

페이더의 포스트 신호는 제어 불능 효과로 인해 마이크가 씬에서 휘파람 소리를 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어야 합니다. 씬으로 복귀할 수 있다면 채널을 점유할 수 있으므로 조정이 더 쉽습니다.

7. 와이어 연결 처리

전문 오디오 엔지니어링 분야에서 일반적인 오디오 시스템의 AC 간섭음은 부적절한 배선 연결 처리로 인해 발생하며, 시스템에는 밸런스드-언밸런스드, 언밸런스드-밸런스드 연결이 있으며, 사용 시 규정을 준수해야 합니다. 또한, 전문 오디오 엔지니어링 분야에서는 결함이 있는 커넥터의 사용이 금지되어 있습니다.

8. 제어 문제

콘솔은 오디오 시스템의 제어 센터입니다. 때때로 콘솔의 고음, 중음, 저음 EQ 밸런스가 크게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오디오 시스템이 제대로 설정되지 않았음을 의미합니다. 콘솔의 EQ를 과도하게 조정하지 않도록 시스템을 재조정해야 합니다.


게시 시간: 2021년 10월 21일